하루 한 줄 응원

우리의 인생은 우리가 생각하는대로 이루어진다. 지금 우리가 서있는 위치는 모두가 우리의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 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당신이 바로 지금 이곳에 있기를 원했기 때문에 현재의 당신이 존재한다는 것 만큼 분명한 사실은 없다.

Technology

기술과 Solution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합니다.

기술 동향

가글해서 코로나19 진단한다…신기술 개발

관리자 | 2022-02-22 | 조회 284

타액을 통해 코로나19를 진단할 수 있는 가글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바이오화학분석팀 권요셉 박사 연구팀이 KBSI의 연구소기업인 ㈜바이오쓰리에스, 전북대학교병원 김달식 교수 연구팀과 함께 코로나19 바이러스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가글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가글은 구강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를 탈취해 진단할 수 있는 기술로, 사용이 쉽고 다수의 인원을 한번에 검사하거나 개인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오미크론 변이의 폭증으로 자가격리 및 치료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새로 도입된 검사체계인 신속항원 진단키트의 활용이 시작됐지만 피검자의 고통과 불쾌감, 비용부담, 민감도 향상에 대한 요구는 지속되고 있다.
구강에는 코로나19가 결합할 수 있는 안지오텐신전환효소(ACE2)가 많아 침을 뱉어서는 바이러스가 구강에서 쉽게 탈리되지 않기 때문에 타액을 통한 검사의 정확도에 대한 의문이 있어 왔다
 이번에 개발한 가글은 임상시험을 통해 구강에서 코로나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탈리·중화할 수 있음이 검증됐다.
가글에 사용한 바이오소재에 대한 호흡기 독성평가는 안전성평가연구소에서 수행했으며 지표성분의 단백질 구조 안전성과 코로나19 바이러스간 상호작용 연구는 KBSI의 다양한 첨단분석장비를 활용, 단백질·바이러스 전문가들의 융합연구로 이뤄졌다.

개발한 가글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한 결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후 6일 이내 감염자의 증상유무와 관계없이 타액항원 진단키트의 민감도가 97.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임상시험은 전북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달식 교수팀이 주도로 전북대학교병원, 군산의료원, 남원의료원에서 수행됐다.
연구팀은 개발한 가글을 연구소기업인 ㈜바이오쓰리에스를 통해 의료기기 제품으로 개발 중이며 타액항원진단키트와 함께 사용하거나 비인두도말법-PCR(NPS-PCR)을 대체할 수 있는 검체 채취방법으로 발전시켜 급성 호흡기 바이러스에 대한 국가 방역에 기여할 방침이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생물학 스펙트럼' 온라인판에 17일자로 게재됐다.

논문명 Bean extract- based gargle for efficient diagnosing COVID-19 at early-stage using rapid antigen tests : a clinical, prospective, diagnostic study, IF=7.171
 KBSI 신형식 원장은 "용합연구를 통해 개발한 원천기술이 사회에 환원되는 좋은 사례"라면서 "현재 코로나바이러스 방역에 힘쓰고 있는 곳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개발에 더욱 힘을 쓰겠다"고 말했다.

associate_pic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217_0001762478&cID=10807&pID=10800